Korean Refined Words
Jump to navigation
Jump to search
세컨드라이프 국어순화어 (Korean Refined Words for SecondLife)
지침
- 문화체육부, 국립국어원 등에서 제시하고 언론사에서 따르는 순화어 지침을 따른다.
- 억지 순화어는 제시하지 않는다. 순한글어를 쓰되, 널리 알려진 통상 한자어는 대체로 받아들인다.
- 세컨드라이프 위키 한글 번역의 기초로 삼는다.
목록
세컨드라이프 용어
| 순화대상어 | 순화어 | 비고 |
|---|---|---|
| alpha (알파) | 투명도 | |
| animation (애니메이션) | 애니메이션 | |
| ban (밴) | 차단 | |
| body part (보디파트) | 신체부위 | |
| client (클라이언트:전산) | ||
| dialog box (다이얼로그 박스) | 대화상자 | |
| freebie (프리비) | 공짜, 공짜물건 | '-bie'로 끝나면 다소 낮춤의 의미가 있다. |
| gesture (제스추어) | 몸짓, 동작 | |
| god mode (갓 모드) | 전능 상태 | 중국 번역: 상제모드 |
| grid (그리드) | 그리드, 내부세계 구획 | 고유명사로 쓸 때는 '그리드'로 쓴다. |
| griefer (그리퍼) | 훼방꾼 | |
| group (그룹) | 모임, 그룹 | |
| hover tips | 풍선도움말 | 물체 위에 마우스커서를 두면 뜨는 도움말 |
| inventory (인벤토리) | 보관함 | |
| in-world (인월드) | 내부세계 | |
| lag (랙) | 지연 | |
| landmark (랜드마크) | (지역)바로가기, 랜드마크 | |
| machinima (머시니마) | 머시니마 | 고유명사로 일단 정착된 듯 하다 |
| mentor (멘토) | 도우미, 조력자 | |
| mouselook (마우스룩) | 마우스보기 | |
| newbie (뉴비) | 초짜 | new user(초보자)의 낮춤말 |
| notecard (노트카드) | 기록장 | 중국쪽 번역: 통지서(알림장), 기록쪽 |
| object (오브젝트) | 물체 | |
| oldbie (올드비) | 노땅, 죽돌이 | old user(오래된 사용자)의 낮춤말 |
| parcel (파셀) | 꾸러미, 구획 | land parcel: 토지 구획 |
| permission (퍼미션) | 권한 | full permission: 모든 권한 |
| prim (프림) | 프림 | 그대로 쓴다. 중국 번역: 간단(부속) |
| root (prim) (루트 프림) | 모 프림, 부모프림, 모체 | |
| sandbox (샌드박스) | 만들기터, 모래상자 | |
| sculpted prims (스컬프티드 프림) | 조각프림 | |
| tag (태그) | 머리표, 꼬리표, 표시 | |
| texture (텍스처) | 무늬, 표면그림 | '질감'과는 의미가 다르다. (중국:贴图) |
| tier (티어) | 계층, 단, 등급 | land tier: 토지 (군집) 단위, tier fee: 단위 요금 |
| viewer (뷰어) |
일반 용어
| 순화대상어 | 순화어 | 비고 |
|---|---|---|
| algorithm (알고리즘) | 알고리즘 | '셈법'은 미정착 순화어 |
| application (어플리케이션) | 응용(작업, 기구) | |
| attribute (애트리뷰트) | 속성 | |
| business (비즈니스) | 사업 | |
| bench-marking (벤치마킹:경영) | 규준경영 | 많은 경우 '~참고하였다'로 충분할 듯 하다. |
| bench-marking (벤치마킹:전산) | 성능점검 | |
| bookmark (북마크) | 바로가기, 바로찾기, 책갈피 | |
| callback (콜백:전산) | 역호출 | |
| category (카테고리) | 범주, 분류, 부류 | 위키백과와 마찬가지로, 위키 Category는 '분류'로 번역. |
| click (클릭:전산) | 딸깍 | |
| command (커맨드:전산) | 명령, 명령행 | |
| comment (코멘트) | 붙임말, 의견(말), 한마디 | |
| community (커뮤니티) | 공동체 | |
| contents (콘텐츠) | 꾸림정보, 내용 | |
| default (디폴트:전산) | 초기설정, 초기, 기본(값) | |
| download (다운로드) | 내려받기 | |
| event (이벤트:행사) | 행사 | |
| event (이벤트:전산) | 사건 | 문화체육부 고시안 |
| flag (플래그:전산) | 표시(문자) | |
| format (포맷:일반) | 틀, 양식, 형식 | |
| format (포맷:전산) | 틀잡기, 터잡기 | |
| guide (가이드) | 안내(자), 길잡이, 길라잡이 | |
| guideline (가이드라인) | 지침, 준칙 | |
| history (히스토리) | 이력, 역사 | |
| index (인덱스) | 색인, 목차, 찾아보기 | |
| instance (인스턴스:전산) | 실현치 | 객체지향프로그래밍(OOP)에서 정의된 형에서 파생된 객체. |
| interactive (인터랙티브) | 양방향, 쌍방향 | |
| interface (인터페이스) | 사이틀 | 문화체육부 고시안 |
| issue (이슈) | 쟁점, 논점, 화제 | |
| item (아이템) | 항목, 품목 | |
| key (키:전산) | 글쇠 | keyboard:글쇠판 |
| library (라이브러리:전산) | 자료관 | 문화체육부 고시안 |
| log in (로그인) | 접속 | |
| log out (로그아웃) | 접속해지 | |
| main (메인) | 주, 주요 | |
| manual (매뉴얼) | 설명서, 안내서 | |
| marketing (마케팅) | 시장관리 | |
| media (미디어) | 매체 | 중국어: 媒体 |
| memory (메모리:전산) | 주기억장치 | |
| menu (메뉴) | 차림(표), 메뉴 | |
| menu (메뉴:전산) | 항목 | |
| multimedia (멀티미디어) | 다중매체, 복합매체 | |
| note (노트) | 기록, 쪽지 | |
| office hour (오피스아워) | 상담시간 | |
| orientation (오리엔테이션) | 예비교육, 안내(교육) | |
| parameter (파라미터) | 매개변수 | |
| pattern (패턴) | 유형, 본, 틀, 모형 | |
| percentage (퍼센티지) | 백분율 | |
| portal (포털) | 들머리 | 위키백과에서는 '들머리'로 합의되었다. |
| porting (포팅:전산) | 이식 | |
| program (프로그램:일반) | 계획(표), 차례 | |
| program (프로그램:전산) | 프로그램 | '풀그림'은 미정착 순화어 |
| project (프로젝트) | 일감, 연구과제, 추진과제 | |
| promotion (프로모션) | 판매촉진, 판촉 | |
| protocol (프로토콜) | (통신)규약 | 문화체육부 고시안 |
| pseudo- | 의사, 가짜 | pseudo-random number: 의사난수 |
| random (랜덤) | 무작위 | random number : 난수 |
| raw- | 원시 | raw data : 원시자료 |
| reference (레퍼런스) | 참고, 참조 | |
| reset (리셋) | 재시동 | |
| schedule (스케줄) | 시간표, 일정 | |
| screen shot (스크린샷) | 화면 갈무리 | |
| (code) snippet | (코드)조각 | |
| source (소스) | 소스 (바탕, 원천) | '원천'은 미정착 순화어. 고시에서도 병용가능. |
| specification | (함수)명세 | 프로그래밍 등 |
| style (스타일) | 양식 | 문화체육부 고시안 |
| syntax | 통사, (구)문법 | |
| system (시스템) | 체제, 체계, 조직, 방식 | |
| templet (템플릿) | 서식, 틀 | 위키백과와 마찬가지로, 위키 Templete는 '틀'로 번역. |
| test (테스트) | 검사, 시험, 점검 | |
| test harness (테스트 하니스) | 점검마구, (임시)단위점검코드 | 단위 점검을 위해 임시로 삽입된 코드 |
| tip (팁) | 도움말 | 국립국어원 선정 |
| touch (터치) | 접촉, 건드림 | |
| type (타입) | 형, 유형, 종류, 양식 | |
| typing (타이핑) | 타자 | |
| tutorial (튜토리얼) | 교습서 | |
| update (업데이트) | 갱신 | |
| upgrade (업그레이드) | 개선, 판올림 | |
| upload (업로드) | 올리기 | |
| version (버전:전산) | 판 |